본문 바로가기

★★☆지식충전소☆★★/※임대주택사업※

"기업형 임대사업자 자금조달 쉬워진다"


"기업형 임대사업자 자금조달 쉬워진다"

 

 

최대 총사업비 70% 사업초기부터 지원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앞으로 기업형 임대사업자의 사업자금 조달에 한층 쉬워진다.

국토교통부와 대한주택보증은 임대사업 초기 한번의 보증심사로 사업을 마칠때까지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임대사업 종합금융보증’을 18일부터 출시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그동안 초기 사업자금(토지대금) 확보와 장기간(최소 10년)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문제가 임대주택 사업의 걸림돌로 지적돼 보증 상품을 내놓게 됐다고 설명했다.

임대사업 종합금융보증은 착공시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기금 건설자금대출, 준공 후 모기지보증 등 금융보증을 연계한 복합 상품이다. 우선 사업 초기 단계에서 총 공사비의 70%까지 PF대출 및 주택기금의 건설자금 대출에 대해 보증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국토부는 분양사업과 달리 임대사업은 준공시까지 사업비의 30~40%(임차인이 임대보증금 납입)만 회수되는 현실을 반영, 분양주택 사업(50%)대비 지원한도를 상향했다. 또 토지비와 사업 초기자금 용도의 PF대출, 주택기금 건설자금 대출 등을 묶어 보증을 지원한다.

국토부는 임대주택 건설 공사가 끝날때까지 미상환 PF대출 또는 건설자금 대출 잔액을 장기 담보부 대출로 전환하고, 임대사업자가 임차인을 원활하게 모집할 수 있도록 임대보증금 보증도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임대사업 종합금융보증이 뉴스테이 사업(기업형 임대사업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출시되는 상품이지만, 법제정 이전에도 일정 호수(건설임대 300호·매입임대 100호) 이상을 8년 넘게 임대로 공급하는 사업자라면 보증을 신청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보증 상품 출시로 기업형 임대사업자의 금융비용이 연 2%이상 절감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그동안 자기자금으로 토지 확보가 가능한 소수의 사업자 위주로 주도됐던 임대사업의 문턱을 낮춰, 다양한 사업자가 진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대주보는 보증상품 출시 이후 표준 PF대출 주관금융기관 및 주택기금 총괄수탁은행과 업무 협약 등을 거쳐서 이르면 오는 4~5월 중 첫 보증 사업장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Daum blog

Mr 황금거북이

 

"진료"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부동"

공인중개사에게....

 

부동산 투자는 '부동산(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때'를 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