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충전소☆★★/※부동산 지식※

아파텔·호피스텔 이상한 용어들, 정체가?

아파텔·호피스텔 이상한 용어들, 정체가?

 

 

매일경제

힐스테이트 광교 오피스텔 견본주택을 방문한 인파. [사진 = 현대엔지니어링]

저금리 시대에 비교적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대상으로 오피스텔이 인기를 끌면서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형 틈새상품까지 등장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이브리드 틈새상품이란 기존 오피스텔에 아파트의 주거기능을 강조한 ‘아파텔’이나 임차인의 편의를 위해 조식 제공, 발렛 파킹, 세탁 서비스 등 호텔 서비스를 적용한 ‘호피스텔’을 말한다.

주택업계 한 관계자는 “초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수익형부동산 인기는 치솟고 있지만 천편일률적인 오피스텔보다는 하이브리드형 틈새상품을 찾는 투자자들이 많다”고 말했다.

실제 새로운 형태의 오피스텔은 분양성적도 괜찮다. 지난 3월 신영이 용인 기흥역세권에서 분양한 기흥역 지웰 푸르지오(84㎡ 단일 면적) 오피스텔의 경우 전체 162실 모집에 3630명이 몰려 평균경쟁률이 22.4대1에 달했다.

앞서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 힐스테이트 광교 오피스텔 역시 전용 77㎡(3룸) 30실 모집에 2만4000여명이 신청해 오피스텔 청약 경쟁률이 공개된 2012년 이후 사상 최고치인 800대1을 기록했다.

호텔식 서비스를 도입한 호피스텔도 인기다. 경북 김천혁신도시에서 선보인 레지던스 호텔 로제니아는 청약경쟁률이 평균 5.3대1로 나타났고, 서울 마곡지구에서 최초로 호텔식 서비스를 도입한 럭스나인은 최고 21대1로 청약 경쟁률이 높았다.

하지만 이 같은 분양성적과는 별개로 부동산업계 일각에서는 아파텔이나 호피스텔을 아파트나 호텔로 착각하면 안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아파텔은 비슷한 크기의 아파트와 분양가를 제대로 비교해야 한다. 오피스텔은 건축법, 아파트는 주택법을 적용받아 취득세와 양도세 등 세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호피스텔의 경우에는 호텔식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분양가가 높게 책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분양가에 맞춰 임대가격을 높게 잡는다면 임차인 유치가 어려워 공실로 전락할 수 있다.

장경철 부동산센터 이사는 “아파텔은 상품 희소성은 있지만 실수요자 관점에서 전용률(계약 면적 대비 전용면적 비율)이 아파트에 비해 낮고 관리비는 상업시설의 공용면적이 많다보니 아파트보다 관리비가 높아 수익률면에서는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도 받는다”고 지적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aum  Mr 황금거북이

"진료"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부동" 공인중개사에게.

 부동산 투자는 '부동산(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때'를 사는 것이다.

Mr 황금거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