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숲길 인기에 임대료 치솟자…'또' 집주인 vs 임차인
머니투데이 원문 [머니투데이 송선옥 기자] [임대료 뛰면서 지구단위계획구역 재정비 요구… 일부선 젠트리피케이션 우려 제기 ]
신촌 마포 일대 시민의 쉼터로 사랑받고 있는 경의선숲길 인근이 주민간 갈등에 휩싸였다. 경의선숲길 인근 상가주택의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저층주거지의 재정비를 요구하는 집주인과 거주를 계속 원하는 임차인들이 맞서고 있다.
19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마포구는 최근 연남동 239-1 일원(면적 8만2900㎡) 서울 휴먼타운 지구단위계획구역 재정비 수립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일대 주택 보유자 등이 구역내 일반음식점 등 허가가 가능하도록 지구단위계획구역 변경을 마포구청에 요청하면서 이를 살펴보기 위해 용역이 진행되고 있는 것. 이곳은 경의선숲길 인근 저층주거지로 미쉐린가이드 빕구르망에 선정된 유명 타이음식점 등이 가깝다. 용역 결과는 오는 12월말 나올 예정이나 마포구는 이미 주민여론 등을 수렴해 서울시에 의견을 구한 상태다.
마포구청 관계자는 "구가 어떻게 입장을 정했는지는 밝힐 수 없다"며 "최종적으로는 시가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서울 도시재생 프로젝트로 연남동과 용산구 효창동을 잇는 경의선숲길 조성사업이 2009년 시작됐고 마포구청은 2011년 이곳을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전선지중화 사업, 리모델링 사업 등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진행했다. 마포구청은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진행하면서 도시경관을 위해 이곳에 주류판매가 가능한 일반음식점 등의 불가 원칙을 세웠다.
하지만 경의선숲길 인근 임대료가 치솟으면서 재산권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졌다. 실제로 밸류맵에 따르면 인근에서 1970년 준공된 지상 2층 단독주택(연면적 183.61㎡)이 올 4월 22억7500만원에 실거래되기도 했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경의선숲길이 서울의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으면서 경의선숲길 인근 주요 지역 상가 매매가가 3.3㎡당 1억원, 주변은 6000만원에 형성돼 있다”며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 유입이 맞물리면서 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는데 집주인 입장에서는 개발을 바라는 게 당연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일부 휴먼타운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주류 등을 파는 일반음식점들이 동네에 들어오게 되면 소음 쓰레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욱이 임대료 상승과 주택 재건축 등으로 임차인들이 쫓겨날 수 밖에 없어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 현상이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주민은 “지난해 12월 재건축 지역인 마포구 아현2구역에서 30대 철거민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는데 여기서도 그런 일이 일어나지 말란 보장이 없다”며 “일대가 개발되면 결국 주택 임차인들이 쫓겨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선옥 기자 oop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촌 마포 일대 시민의 쉼터로 사랑받고 있는 경의선숲길 인근이 주민간 갈등에 휩싸였다. 경의선숲길 인근 상가주택의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저층주거지의 재정비를 요구하는 집주인과 거주를 계속 원하는 임차인들이 맞서고 있다.
그래픽 : 김현정 디자인기자 |
일대 주택 보유자 등이 구역내 일반음식점 등 허가가 가능하도록 지구단위계획구역 변경을 마포구청에 요청하면서 이를 살펴보기 위해 용역이 진행되고 있는 것. 이곳은 경의선숲길 인근 저층주거지로 미쉐린가이드 빕구르망에 선정된 유명 타이음식점 등이 가깝다. 용역 결과는 오는 12월말 나올 예정이나 마포구는 이미 주민여론 등을 수렴해 서울시에 의견을 구한 상태다.
마포구청 관계자는 "구가 어떻게 입장을 정했는지는 밝힐 수 없다"며 "최종적으로는 시가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서울 도시재생 프로젝트로 연남동과 용산구 효창동을 잇는 경의선숲길 조성사업이 2009년 시작됐고 마포구청은 2011년 이곳을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전선지중화 사업, 리모델링 사업 등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진행했다. 마포구청은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진행하면서 도시경관을 위해 이곳에 주류판매가 가능한 일반음식점 등의 불가 원칙을 세웠다.
하지만 경의선숲길 인근 임대료가 치솟으면서 재산권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졌다. 실제로 밸류맵에 따르면 인근에서 1970년 준공된 지상 2층 단독주택(연면적 183.61㎡)이 올 4월 22억7500만원에 실거래되기도 했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경의선숲길이 서울의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으면서 경의선숲길 인근 주요 지역 상가 매매가가 3.3㎡당 1억원, 주변은 6000만원에 형성돼 있다”며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 유입이 맞물리면서 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는데 집주인 입장에서는 개발을 바라는 게 당연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에 일부 휴먼타운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주류 등을 파는 일반음식점들이 동네에 들어오게 되면 소음 쓰레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욱이 임대료 상승과 주택 재건축 등으로 임차인들이 쫓겨날 수 밖에 없어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 현상이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주민은 “지난해 12월 재건축 지역인 마포구 아현2구역에서 30대 철거민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는데 여기서도 그런 일이 일어나지 말란 보장이 없다”며 “일대가 개발되면 결국 주택 임차인들이 쫓겨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선옥 기자 oop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식충전소☆★★ > ※상권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숲길 일대 대기업 프랜차이즈 신규 입점 제한 (0) | 2019.12.20 |
---|---|
서울로7017, 서울역 대합실까지 '직결' 2020년 개통 (0) | 2019.12.18 |
1층을 비웠더니 골목이 살아났다...힙스터 성지 된 '강남 쌈지길'[건축과도시] (0) | 2019.11.14 |
스산해지는 혜화동 상권···중대형상가 공실율 15.1%로 '껑충' (0) | 2019.11.12 |
마을호텔·마장키친.. 성동구 색깔 살린 7개 지역 재생사업 (0) | 2019.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