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을 때 투자 좋다지만…아직은 얇은 지갑 어찌하리오
[장경철 부동산일번가 이사] 월급과 저축만으로 살기에는 팍팍한 시대다. 소득은 낮아지는데 물가만 오르고 있어서다. 최근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30~40대 젊은층이 몰리는 이유다. 물론 리스크는 있다. 대출 금리가 오를 경우 대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의 주머니가 아직은 얇기 때문이다.
![]() |
대기업 과장인 김대연(37)씨는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에 위치한 재건축 아파트를 7억5000만원에 팔았다. 대신 이 자금으로 수도권에 한 상가를 분양받아 커피전문점을 입점시켰다. 주변에서는 김씨를 말렸다. 서울 재건축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는 소식이 이어지고 있는데 왜 파냐는 이유였다.
김씨 생각은 달랐다. 수익형 부동산은 임대수익과 시세차익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판단했다. 수익을 꾸준히 올리면 퇴직 시점에는 대출을 거의 상환하고 새로운 자산과 수익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거다. 김씨는 노후 대비 차원에서 본인이 직접 상가를 운영할 계획까지 세웠다.
50~60대 베이비붐 세대가 주도하던 부동산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30~40대 젊은 층이 새롭게 시장에 뛰어들면서다. 시장은 이들을 '에코 세대'라고 부른다. 베이비부머의 자녀세대로 일반적으로 1970년부터 1990년생을 지칭하는 세대구분 용어다. 베이비붐 세대가 메아리(Echo)처럼 다시 출생 붐을 일으켜 태어났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상가 시장에 에코 세대가 진입한 건 2~3년 전 부터다. 2013년 인천 송도에서 분양을 마친 '센트럴파크Ⅱ 상업시설(센투몰)'은 40대 계약자 비율이 전체 계약자 중 4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센투몰'에 앞서 분양한 '센원몰'의 전체 계약자 중 40대와 30대의 비중이 각각 31%, 17%로 50대(33%)에 이어 가장 높았다. 위례신도시에 공급된 '위례중앙역 중앙타워'의 계약자 연령대도 30대와 40대가 각각 16.5%와 28.6%의 비중을 차지했다.
오피스텔 시장 역시 에코세대가 주요 타깃이다. 전세난 심화로 아파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오피스텔이 대안상품으로 떠오르면서다. 실제로 오피스텔 계약자들 중 30~40대 비중은 상당히 높았다.
본격화하는 세대교체
경기도 광명시에 분양된 '광명역 효성해링턴 타워 더 퍼스트' 오피스텔의 계약자 30%가 30대였다. 50대는 17%에 불과했다. 위례신도시에 분양됐던 '위례 오벨리스크' 오피스텔은 30대 계약자가 18%, 40대가 30%로 전체 계약자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 젊은층이 몰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저축으로만 재테크를 계획하기에는 금리가 터무니없이 낮아서다. 에코세대는 버는 것보다 지출이 더 많다. 자녀 교육비, 부모 부양비, 노후자금 등 들어가야 할 돈이 하나둘이 아니다. 주거비 부담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 3분기 기준 39세 이하 가구주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1만원.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5억5480만원이다. 12년 6개월을 모아야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마련할 수 있다는 단순 계산이 나온다.
그나마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는다는 비현실적인 가정에서 나온 통계다. 생활비와 교육비 등으로 나가는 돈을 감안하면 실제 내 집 마련에 걸리는 시간은 이보다 더 길어진다. 부모가 재산을 물려주지 않은 보통 월급쟁이가 돈을 모아 내 집을 마련하기란 사실상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얘기다. 스스로 '주포(주택 마련을 포기) 세대'임을 선언한 이들도 많다. 무주택가구 841만2000가구 가운데 중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은 36.2%나 된다.
결국 이들은 주택 구매를 포기하고 남은 여윳돈으로 상가 등 수익형 상품을 통해 임대수익을 얻으려는 거다. 부모 세대가 부족한 노후 준비로 고생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미리미리 수익형 부동산으로 노후 준비를 해야 한다는 절박감도 작용했다. 수익형부동산 외에는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도 힘들다.
![]() |
'묻지마 투자' 우려는 여전
문제는 이들의 자금 여력이 탄탄하지 않다는 점. 쫓기듯이 무리한 대출을 받아 투자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 처음 몇 년은 문제가 없겠지만 향후에는 문제가 될 공산이 크다. 수익형 부동산 시장에도 '공급 과잉' 바람이 불면서 수익률이 점차 떨어지고 있어서다. 이미 대표적인 수익형 부동산인 오피스텔은 임대 수익률이 내려가고 있다.
올해 2월 기준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5.09%다. 1월(5.11%)보다 0.02% 떨어졌다. 2010년 8월 6.02%로 정점을 찍은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2014년 9월(5.62%) 이후 2년 5개월째 보합 또는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하락세라면 5% 수익률도 어려울 거라는 전망이다. 높은 대출 비중도 부담이다. 미국이 본격적으로 통화긴축에 나설 경우 국내 금리도 뒤따라 오를 수밖에 없어서다.
무엇보다 무턱대고 소자본만으로 상가 매입에 나서는 건 위험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여윳돈이 1억~2억원 수준이면 오피스텔과 소형 오피스 투자가 적합하다. 3억~5억원은 아파트 단지 내 상가, 5억~10억원은 유망 상권의 근린상가 투자에 나서는 게 좋다.
<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BLOG | 名品코리아 財tech story http://myhyun2004.blog.me/ |
연락처 | Mobile : 010-3346-6600 E-mail : myhyun2004@naver.com |
'★★☆지식충전소☆★★ > ※노후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자산을 재설계하라[황혼 재테크] (0) | 2017.05.31 |
---|---|
부동산자산을 재설계하라[황혼 재테크] (0) | 2017.05.31 |
난 돈이 계속 모자라...당신도 과소유 증후군? (0) | 2017.03.10 |
월세 받으며 편하게 산다? 마음고생 만만치 않아요 (0) | 2017.03.09 |
이자소득 생활 40대 독신남, 금융자산 수익률 높이려면 (0) | 2016.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