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일시금 찾아가세요"…5년 지나면 못찾아
5월부터 가입내역안내서에 5년 지급 소멸시효 내용 추가
2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 국외이주, 국적상실 등으로 국민연금에 더이상 가입할 수 없거나, 연금수급 연령에 이르렀지만 수급요건(가입기간 10년)을 충족하지 못하면 그간 낸 보험료에 이자를 붙여 일시금으로 돌려준다.
그러나 반환 시한이 있어 이 기간 안에 청구하지 않으면 청구권리가 사라진다.
![]() |
원칙적으로 지급사유가 발생한 이후 5년 이내에 청구하지 않으면 소멸시효가 완성된 것으로 봐 일시금을 주지 않는다.
이런 지급 소멸시효 장치는 국민연금뿐만 아니라 공무원연금과 사립학교 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등 다른 공적 직역연금에도 있으며 일본 등 다른 국가도 비슷한 소멸제도를 두고 있다고 공단은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공단은 일시금을 받지 못하는 낭패를 당하지 않도록 대상자에게 체계적으로 청구안내를 하고 있다. 일시금 지급은 국민연금에 대한 국민신뢰와 직결되기에 공단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업무 중 하나다.
공단은 "지급사유 발생 3개월 전에 사전안내하고 지급사유 발생 2개월 지나서도 돈을 찾아가지 않으면 출장 방문하거나 전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4단계 절차에 따라 총 7번에 걸쳐 대상자가 적기에 일시금을 청구해 찾아가도록 안내한다"고 설명했다.
반환일시금 소멸시효에 관한 특례 규정도 둬 국외이주나 국적상실, 다른 공적연금가입 등으로 일시금 지급사유가 발생했는데도 5년 안에 청구하지 않아 소멸시효가 지났더라도, 향후 60세가 되거나 숨지면 다시 5년 안에 청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럼에도 거주 불명, 국외이주 등으로 연락이 끊기거나 일시금이 소액이어서 수령을 거부하는 등의 이유로 소멸시효 5년이 지난 사례가 최근 5년간 2천370건이며, 금액으로는 33억원에 달한다.
공단은 반환일시금과 소멸시효 제도를 몰라서 못 받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소멸시효 제도를 자세하게 알리는 내용을 5월부터 가입자내역안내서에 추가하기로 했다.
sh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부동산 투자는 '부동산(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때'를 사는 것이다. |
믿음의 공인중개사로서 최선의 노력과 신뢰, 믿음, 정직, 신용으로.......... |
"부동산"은 공인중개사에게.... |
|
|
'★★☆지식충전소☆★★ > ※금융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녀장려금 5월에 신청…기한 넘기면 감액 (0) | 2015.04.30 |
---|---|
"빚내서 집 사자"…'한국판 서브프라임' 방아쇠? (0) | 2015.04.24 |
대출금리 내리고 대상은 늘려… 빚으로 버텨라? (0) | 2015.04.06 |
“대출해주니 수수료달라” 무조건 불법 (0) | 2015.04.05 |
‘20조 추가’ 안심전환대출, 4월 3일까지 신청 (0) | 201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