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금제 부담없이 살만한 폰 뭐가 있을까?"
'모르면 호갱된다'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호구와 고객을 합친 신조어 '호갱'은 제품을 구입할 때 관련 정보 없이 지나치게 비싸게 구입하는 이들을 일컫는다. 요즘은 스마트 기기가 널리 보급돼 있기 때문에 조금만 알아도 덤터기를 쓸 위험이 줄어든다. 누구나 알뜰한 쇼핑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미디어잇은 '호갱탈출' 시리즈를 통해 소비자들이 부당하게 손해를 보지않고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와 팁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이나 가전, PC,주변기기 등 각종 IT제품 구매나 사용 시 궁금한 점이 있으면 '호갱탈출' 코너를 활용하면 된다.<편집자주>
[미디어잇 최재필] 우리나라 이동통신 시장에서 스마트폰 구매 행태가 달라지고 있다. 엄격히 제한된 단말기 지원금 탓에 80만~90만 원대의 고가 스마트폰 구입 부담이 커지면서 중저가형 단말기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가요금제가 아닌, 3만 원대 요금제에 가입하면서합리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뭐가 있는지 짚어봤다.
'시선집중' 출시 15개월 지난 스마트폰
현행 단말기유통법에서는 휴대전화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받을 수 있는 공시지원금을 최대 33만원으로 제한하고 있다. 대리점,판매점 등은 공시지원금의 15% 내에서 추가지원금을 지급해 줄 수 있다.
단, 출시된 지 15개월이 지난 휴대전화에는 지원금 상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시 15개월이 지난 휴대전화에 이동통신사들이 얼마의 공시보조금을 책정했는지 눈여겨봐야 한다.
최근 출시 15개월이 지나 공시지원금이 대폭 올라간 스마트폰으로는 삼성전자 '갤럭시노트3네오'를 꼽을 수 있다. '갤럭시노트3네오'는 5.5인치 HD(1280x720) 디스플레이, 퀄컴 스냅드래곤 800 프로세서, 2GB 램, 16GB 내장메모리, 3100mAh 배터리, 800만 화소 후면 카메라 등을 탑재했다. 출고가는 59만 9500원이다
22일 기준으로 이통3사 중 해당 제품에 가장 많은 지원금을 지급해 주는 곳은 LG유플러스다. 소비자가 '뉴 음성무한 35.9 요금제'(부가세포함 3만 9490원)로 가입해 제품을 구입할 경우, 47만 9000원의 공시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유통점 추가지원금(15%) 7만 1850원을 추가로 지급 받으면 총 4만 8650원에 구입할 수 있다.
아울러 삼성전자 '갤럭시S5'도 공시지원금 변동추이를 지켜봐야 하는 단말기 중 하나다. 출고가 66만 6600원의 '갤럭시S5'는 지난 6월 27일부로 출시 15개월을 맞았다. 더 이상 지원금 상한선 규제를 받지 않는 스마트폰이 된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시보조금 인상폭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있다. LG유플러스가 지난 21일 해당 단말기에 대한 지원금을 상향조정했지만, '뉴 음성무한 35.9 요금제' 기준으로 26만 9000원에 불과하다. 조금 더 지켜본 후 구매를 결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듯하다.
이 밖에도 오는 8월에 출시 15개월을 맞는 스마트폰이 있다. 바로 LG전자의 히트작 'G3'다. 아직까지는 KT가 '데이터선택 349 요금제'(부가세포함 3만 8390원)에 13만 4000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며, 이통3사 중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다.
같은 요금제를 선택해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20%'(2년 약정 기준)를 받으면, 18만 4800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G3의 보조금 상한이 풀리는 시점은 정확히 8월 28일로, 대대적인 지원금 상향이 예상되고 있다.
몸값 낮추고, 스펙 올라간 '최신 중저가폰'
각 제조사들의 출시하는 스마트폰의 성능이 상향평준화되면서, '중저가폰'도 가격은 저렴하지만 쓸 만한 제품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발맞춰 최근 이동통신시장에서는 보급형 제품들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먼저 SK텔레콤 전용으로 오는 24일 정식 출시되는 '갤럭시A8'이 눈길을 끈다. 출고가는 64만 9000원이다. 이 제품은 5.7인치 풀HD 수퍼 아몰레드 대화면을 탑재했으며, 5.9mm의 두께로 갤럭시 스마트폰 중 가장 얇은 초슬림 디자인이다. 2GB램, 32GB 내장메모리, 1600만 화소 후면카메라와 500만 화소 전면카메라 등을 장착했다. 배터리는 3050mAh 대용량이다.
소비자가 SK텔레콤의 '밴드 데이터 36 요금제'를 선택해 기기를 구입할 경우, 20만 4000원의 공시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유통점 추가지원금(15%)을 더해 41만 4400원에 제품 구입이 가능하다.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20%'(2년 약정 기준)를 받을 경우, 19만 80원의 할인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에 '지원금'을 선택하면 1만 원가량 유리하다.
삼성전자 '갤럭시J5'도 가장 최근 출시된 보급형 스마트폰으로, 출고가는 29만 7000원이다. KT는 해당 제품을 '갤럭시센스'라는 이름으로 22일부터 판매에 들어갔다. '갤럭시J5'는 5인치 HD수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1.2GHz 쿼드코어 프로세서, 1.5GB 램, 16GB 내장 메모리, 2600mAh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지상파 DMB도 지원한다.
소비자가 KT를 통해 구입할 경우, 'LTE 데이터선택 349 요금제'에 가입해 15만 8000원의 공시지원금과 2만 3700원의 유통점 추가지원금(15%)을 받을 수 있다. 실 구입가는 11만 5300원이 된다.
해당 요금제 기준으로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 20%'(2년 약정 기준)를 선택하면 18만 4800원의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요금할인 20%를 받는 게 지원금을 받는 것보다 3000원 가량 유리하다.
LG전자가 내놓은 보급형 제품들도 눈여겨 볼만하다. SK텔레콤 전용으로 출시된 'LG밴드플레이'는 5인치 HD디스플레이, 퀄컴 스냅드래곤 410 프로세서를 탑재했다. 또 2GB램, 16GB 내장메모리, 1300만 화소 후면카메라와 500만 화소 전면카메라, 2300mAh 배터리 등이 장착됐다. 출고가는 34만 9800원이다.
소비자가 SK텔레콤의 '밴드 데이터36 요금제'에 가입해 제품을 구입할 경우, 18만 9000원의 공시지원금과 2만 8350원의 유통망 추가지원금(15%)을 더해 총 13만 2450을 주고 기기 구입이 가능하다.
같은 요금제로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20%'(2년 약정 기준)를 선택할 경우, 19만 80원의 할인 혜택을 받아볼 수 있다. 지원금을 선택하는 게 요금할인 20%를 받을 때보다 2만 7000원 가량 유리하다.
Tip : 스마트폰 구입 전,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가 운영하는 통신요금 정보포털 '스마트 초이스(http://www.smartchoice.or.kr)'를 방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맞춤형 요금추천, 통신 및 유료방송 미환급금, 모바일 상품권 조회, 분실단말기, 단말기지원금 및 요금할인 20% 비교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최재필 기자 jpchoi@it.co.kr
'모르면 호갱된다'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호구와 고객을 합친 신조어 '호갱'은 제품을 구입할 때 관련 정보 없이 지나치게 비싸게 구입하는 이들을 일컫는다. 요즘은 스마트 기기가 널리 보급돼 있기 때문에 조금만 알아도 덤터기를 쓸 위험이 줄어든다. 누구나 알뜰한 쇼핑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미디어잇은 '호갱탈출' 시리즈를 통해 소비자들이 부당하게 손해를 보지않고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와 팁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이나 가전, PC,주변기기 등 각종 IT제품 구매나 사용 시 궁금한 점이 있으면 '호갱탈출' 코너를 활용하면 된다.<편집자주>
[미디어잇 최재필] 우리나라 이동통신 시장에서 스마트폰 구매 행태가 달라지고 있다. 엄격히 제한된 단말기 지원금 탓에 80만~90만 원대의 고가 스마트폰 구입 부담이 커지면서 중저가형 단말기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가요금제가 아닌, 3만 원대 요금제에 가입하면서합리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뭐가 있는지 짚어봤다.
'시선집중' 출시 15개월 지난 스마트폰
현행 단말기유통법에서는 휴대전화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받을 수 있는 공시지원금을 최대 33만원으로 제한하고 있다. 대리점,판매점 등은 공시지원금의 15% 내에서 추가지원금을 지급해 줄 수 있다.
단, 출시된 지 15개월이 지난 휴대전화에는 지원금 상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시 15개월이 지난 휴대전화에 이동통신사들이 얼마의 공시보조금을 책정했는지 눈여겨봐야 한다.
'★♬★매매.임대구함★♬★ > ※★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통사 전용폰'의 비밀…"단통법이 만든 트렌드" (0) | 2015.07.23 |
---|---|
헷갈리는 이통요금 .. 소비자만 피해 (0) | 2015.07.23 |
삼성전자 중저가 단말기 봇물…가입자 확보 경쟁 재점화 (0) | 2015.07.23 |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J5, KT가 먼저 파는 배경은 (0) | 2015.07.23 |
MS, 윈도우 10 기본 탑재 '엣지와 IE11' 활용법 소개 (0) | 201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