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판치는 P2P 대출 시장…20곳 검경 수사 받는다
금감원, P2P 연계대부업체 점검 결과 발표
사기·횡령, 허위 공시 등 불법행위 적발
자금 유용하고 암호화폐에 투자하기도
대부업체 맞먹는 고금리 받는 곳도 많아
P2P 연계대부업체 사실상 페이퍼컴퍼니
![]() |
금융감독원이 대부업자와 연계된 P2P 대출 업체 178곳을 대상으로 지난 3월부터 6개월간 실태 점검을 한 결과다. 금감원은 이중 사기·횡령 혐의가 포착된 20곳을 검찰에 수사 의뢰하거나 경찰에 수사 정보를 제공했다고 19일 밝혔다.
P2P 대출은 은행이 아닌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에서 투자자와 대출자를 연결하는 비즈니스다. 투자자들에게 돈을 모아 자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빌려주고, 원금과 이자를 받아 투자자들에게 상환하는 식이다. 금감원과 크라우드연구소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P2P 대출 업체는 205곳. 이중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P2P 연계대부업체는 178곳이다. 이들의 대출 잔액은 4조3000억원이다.
![]() |
한 P2P 업체가 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해 사용한 가짜 금괴<연합뉴스> |
한 업체는 부실화된 부동산 담보 채권을 안전한 자산처럼 속여 투자금을 모집했고, 다른 업체는 동일한 자산을 여러 상품에 이중·삼중으로 담보해 실제 담보 가치 이상으로 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 대출을 자기 자금으로 대납하거나 다른 사업자금으로 돌려 막기 해 연체가 없는 건실한 업체로 위장한 곳도 있었다.
![]() |
한 P2P 대출 업체는 맹지를 PF사업장으로 속여 투자자를 모집하다 금감원에 적발됐다. |
일부 업체는 6억원을 대출해주면서 금리를 18% 받고, 여기에 대출금액의 5%에 해당하는 3000만원의 플랫폼 이용료(수수료)를 받는 등 대부업체와 유사한 고금리를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중금리 대출로 금융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인다는 P2P 도입 취지와 딴판인 셈이다.
특히 P2P 대출 업체 상당수가 영세해 대출 심사를 부실하게 하고, 대출 심사 인력이 채권 추심 업무까지 하는 등 신용정보법을 위반할 소지도 많다는 게 금감원의 지적이다. 또한 상당수 업체가 정보보안 인력이 아예 없거나 부족해 해킹 등 고객정보가 유출될 가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 |
금감원 |
금감원에 따르면, 누적 대출금이 3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영세업체가 전체의 절반에 달했다. 또한 P2P 연계대부업체의 평균 임직원 수는 3.6명이고, 2명 이하인 곳이 점검 대상의 50.3%(81곳)이었다. P2P 대출의 평균 연체율은 12.5%였다. 특히 PF 대출 연체율은 18.7%에 달했다. 이성재 여신금융검사국장은 “대부업체와 계열 P2P 업체 임직원이 대부분 겸직이거나 사업장을 공유하는 등 P2P 연계대부업체는 사실상 페이퍼컴퍼니”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번 실태 점검을 계기로 P2P 연계대부업체에 대한 점검을 지속·강화할 방침이다. 이성재 국장은 “특수 관계인에 대한 대출 제한, 고위험 상품 통제, 공시 강화 등 점검 결과 드러난 문제점에 대한 제도 개선을 금융위에 건의하고, 향후 P2P 대출 관련 법률 제·개정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태윤 기자 pin21@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식충전소☆★★ > ※부동산 사건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주 갑질논란, 카페 앞에 말뚝 박고 쇠사슬·장벽 설치 (0) | 2018.11.23 |
---|---|
"맹지에 100명 공동명의"..기획부동산 피해 급증 (0) | 2018.11.22 |
"부동산 급매물 투자 고수익" 이웃사촌에 187억 사기…징역 8년 (0) | 2018.11.19 |
"못 파는 땅도 팔 수 있다?" 이 세상 부동산에 마법 따윈 없다 (0) | 2018.11.19 |
"용역업체 시켜줄게"...재건축 뇌물 수수 조합장·임원 기소 (0) | 201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