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충전소☆★★/※임대주택사업※

역세권 청년주택 '산 넘어 산'...주민 반발 이겨낼까

역세권 청년주택 '산 넘어 산'...주민 반발 이겨낼까


"역세권 청년주택 1호, 3월말 착공…차기 사업지 선정 난항"

뉴스1

삼각지역 역세권 청년주택 조감도(제공=서울시)© News1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서울시가 2030세대의 주거난 해소를 위해 내놓은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사업이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뚫고 순항할 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용산구 한강로2가 삼각지역 인근에 들어설 역세권 청년주택 1호(1086가구)는 3월말 착공을 시작한다. 2020년 준공 예정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지하철 역세권에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2030 청년층을 위한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삼각지역 청년주택을 시작으로 올해 1만5000가구의 역세권 청년주택을 공급하고 2019년까지 총 5만가구를 짓겠다는 계획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지·옥·고(반지하·옥탑방·고시원)'로 대표되는 청년층의 생활고를 덜어주기 위해 마련된 주거복지 정책이다. 취지는 좋았으나 지난해 3월 발표 때부터 '고가 임대료' 논란에 휘말렸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크게 서울시가 직접 공급하는 공공임대와 뉴스테이 개념의 민간임대로 나뉜다. 공공임대는 주변 시세의 68~80% 수준에서 임대료가 결정되고 민간임대의 경우 시세 대비 90%까지 가능하다.

1호 사업지인 한강로2가의 전용면적 50㎡ 오피스텔은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160만원, 전용면적 33㎡는 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 75만원 수준이다. 때문에 청년층이 월 100만원 안팎의 임대료를 감당할 수 있겠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고가 임대료 우려는 올해 초 서울시의 발표로 불식되면서 일단락 됐다. 서울시는 지난 1월 보증금에 따라 월 임대료가 최소 12만~38만원(사회 초년생-대학생)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물론 보증금이 최고 1억원에 육박해 여전히 비싸다는 지적이 있으나 서울시는 현행 장기안심주택 제도를 활용해 최대 4500만원까지 보증금을 무이자로 대출해 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의 가장 큰 어려움은 '님비(NIMBY·지역이기주의)'현상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주택이 들어서면 집값이 떨어진다는 오래된 편견으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지 인근 주민들이 반대하기 때문이다. 이달 말 착공이 시작되는 삼각지역 청년주택도 아직까지 반대하는 주민들이 있다.

삼각지역 근처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서울시가 공사를 시작한다니까 진행은 될 텐데 주민들 사이에서는 반대의 목소리가 여전하다"며 "주거난 해소에는 공감하지만 자신들 집값 떨어진다는데 반길 주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서울시는 내부적으로 검토한 마포구 서교동, 강남구 논현동, 강서구 화곡동 등 사업지 선정에 대해 발표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역세권 청년주택을 짓겠다는 건설사들은 많은데 주민들의 오해로 사업 추진이 쉽지 않다"며 "(차기 사업지로) 아직 확정된 곳이 없는데 지역 주민들과 계속 소통해 청년주택이 제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뉴스1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yagoojoa@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익성빌딩 "/"신축용부지"  매수.매도 의뢰접수합니다.

BLOG

   명품코리아 財tech story   http://myhyun2004.blog.me/

연락처

  Mobile : 010-3346-6600  E-mail : myhyun2004@naver.com

  대표 / 공인중개사/김정현   등록번호 11200-2015-0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