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월세↓'…보증금 증액 무효 되면 월세는 얼마?
아파트 임대료 연체해 소송…대법 전원합의체 18일 선고
![]() |
|
(서울=연합뉴스) 임순현 기자 = 보증금을 올리고 월세를 깎는 방식으로 체결된 임대차계약에서 법원의 판결로 보증금 증액이 무효가 된 경우 월세는 기존대로 내야 할까. 대법원이 이 문제의 결론을 곧 내린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공공임대주택 사업자 D사가 임차인 정모(32)씨를 상대로 낸 건물인도 청구소송의 상고심을 18일 선고한다고 15일 밝혔다.
증액된 보증금이 무효가 된 경우 줄어든 월세는 어떤 성격인지가 쟁점이다. 임차인이 추가로 내야 할 월세에 해당하는지, 월세와 상관없는 단순한 부당이득에 해당하는지다.
추가 월세로 볼 경우 3개월 이상 연체하면 임대인이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반면 부당이득에 불과하다면 임대인은 보증금에서 모자란 월세만큼을 공제할 수 있을 뿐 계약 해지는 주장할 수 없다.
정씨와 D사는 2006년 경기 성남의 공공임대아파트 임대차계약을 하면서 보증금을 2억4천694만원으로 증액하고, 월세는 59만3천원으로 감액했다.
이후 정씨가 D사를 상대로 이 아파트의 표준 임대보증금인 1억3천719만원을 넘는 보증금 계약은 무효라는 소송을 냈다.
이에 D사도 표준 임대보증금을 넘는 임대보증금이 무효라면 표준임대료 90만9천원보다 적은 월세 계약도 무효라며 정씨를 상대로 차액만큼을 내라고 맞소송을 냈다.
법원은 두 사람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후에도 정씨가 3개월 이상 월세 차액을 내지 않자 D사는 임대차계약 해지를 통보한 후 아파트에서 나가라며 또 소송을 냈다.
1심은 "임차인이 월세를 3개월 이상 3개월분을 초과해 연체했다"며 D사의 손을 들어줬다.
반면 2심은 "법원이 지급을 명한 월세 차액은 차액 상당의 부당이득을 의미한다"며 이를 연체했더라도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hyun@yna.co.kr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수익성(재테크) 부동산 매매 및 임대.임차"는 "김정현"공인중개사에게....
"수익성 건물/신축부지 매수.매도의뢰 접수합니다.
대표 / 김정현 대왕코리아공인중개사 사무소 네이버 Blog http://myhyun2004.blog.me. |
Mobile 010-3346-6600 등록번호 11200-2015-00125 E-mail : myhyun2004@naver.com |
{한국공인중개사들의 산행으로 친목과 정보교류를 위한 순수한 산행 동호회}
한국공인중개사 산악회 http://band.us/@krmountain
'★★☆지식충전소☆★★ > ※부동산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유의 법률관계와 종중에 대하여[김용일의 부동산톡] (0) | 2016.11.27 |
---|---|
합유관계와 정산금청구소송에 대하여 (0) | 2016.11.21 |
부동산 공유물분할청구소송에 대하여 (0) | 2016.11.14 |
부동산 공유지분의 법률관계 및 관리행위 (0) | 2016.11.06 |
종중이 명의신탁한 재산을 되찾는 방법과 판단기준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