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할 때 손실 피하는 5가지 꿀팁
사업보고서 통해 투자위험요소·사업내용 확인해야
![]() |
© News1 최진모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5일 금융감독원은 투자자에게 '주식·채권 투자에서 실패하지 않는 5가지 꿀팁'을 소개했다.
가장 먼저 사업보고서를 통해 최대주주에 관한 사항을 봐야 한다. 최대주주가 자주 바뀐다면 경영이 불안할 가능성이 크다. 최근 3년간 최대주주가 2회 이상 변동된 회사(106개)의 절반 이상(54개, 51%)이 재무상태 악화 등을 사유로 상장 폐지되거나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임직원의 횡령이나 배임 발생 여부도 확인해봐야 한다. 최대주주와 경영진의 횡령·배임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면, 내부통제가 취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거나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업(98사) 가운데 25.5%(25사)에서 대표이사 혹은 임원 등의 횡령·배임이 있었다.
회사의 자금조달 방식도 눈여겨봐야 한다. 공모를 통한 자금조달보다 사모를 통한 자금조달이 많다면 투자를 재검토해야 한다. 까다로운 일반투자자 대상의 자금조달(공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징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장 폐지 사유가 발생한 기업의 2014년 자금조달 현황을 보면 사모비중(81.6%)이 공모비중(18.4%)보다 훨씬 컸다.
증권신고서에 정정요구가 발생하거나 2회 이상 정정요구가 반복되는 기업도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한다. 재무구조가 부실하거나 실적악화 등으로 향후 사업전망이 불확실해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후 금감원으로부터 정정요구를 받은 기업(26개)의 부채비율(226.5%)과 당기순이익(-122억원)이 전체 상장법인 평균(79.6%, 282억원)보다 취약했다.
고수익을 미끼로 한 비상장주식 투자도 고민해봐야 한다. 비상장주식은 환금성에 제약이 있는 등 높은 투자위험이 존재한다. 금감원은 "투자하기 전 사업보고서를 통해 투자위험요소와 사업내용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사업보고서는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서 볼 수 있다.
keon@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익성(재테크) 부동산 매매 및 임대.임차"는 "김정현"공인중개사에게....
"수익성 건물/신축부지 매수.매도의뢰 접수합니다.
대표 / 김정현 대왕코리아공인중개사 사무소 네이버 Blog http://myhyun2004.blog.me. |
Mobile 010-3346-6600 등록번호 11200-2015-00125 E-mail : myhyun2004@naver.com |
{한국공인중개사들의 산행으로 친목과 정보교류를 위한 순수한 산행 동호회}
한국공인중개사 산악회 http://band.us/@krmountain
'★★☆지식충전소☆★★ > ※주식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종목 대박이랬는데…" 주식 쪽박 피하는 5가지 방법 (0) | 2017.01.10 |
---|---|
“잠자는 미수령 주식 찾아가세요” (0) | 2016.12.16 |
"쉿! 너만 알고 있어"…증권가 '검은 공생'에 몸살 (0) | 2015.11.16 |
"매년 '상투'만 잡았는데.." 운 나쁜 개미의 투자성적표 (0) | 2015.08.25 |
쉽게 지치는 '토끼'보다 꾸준한 '거북이'가 낫다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