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준공공임대주택’ 3,500여가구 등록, 전년比 6배 증가
올해 등록요건 추가 완화 및 세제 감면 확대 등으로 지속 증가 전망
![]() |
준공공임대주택 등록 현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지난해 전국 ‘준공공임대주택’ 등록 실적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올해는 등록요건이 추가로 완화되고 세제 감면 등 인센티브가 확대돼 등록가구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2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준공공임대주택 등록 실적(누계)은 총 3570가구로, 2014년(501가구) 대비 약 6배(3069가구) 가량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임대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수도권의 준공공임대주택 등록이 1982가구로 전년과 비교해 약 65% 늘었다. 지방도 1087가구로 35% 가량 등록건수가 상승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306가구로 지난해 등록한 준공공임대주택 전체의 43% 비중을 차지했다. 다세대·연립은 769가구(25%), 도시형 생활주택도 509가구(17%) 등으로 조사됐다.
면적별로는 40㎡(이하 전용면적 기준) 이하 준공공임대주택이 1675가구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40㎡ 초과 60㎡ 이하 1162가구, 60㎡ 초과 232가구 등의 순이었다.
이와 함께 준공공임대주택을 등록한 임대사업자도 496명으로 2014년(126명)과 비교해 294%(370명)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3년 12월 이후 준공공임대주택 등록요건 완화와 자금지원, 세제감면 등의 제도개선 노력의 성과가 지난해 가시화된 것”이라면서 “최근 저금리 시대에 맞춰 안정적인 임대소득이 나오는 임대주택에 투자하려는 인식이 확산된 점도 한몫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올해부터는 민간임대특별법령 시행에 따라 의무임대기간이 8년으로 줄어들고 면적별 이자율이 낮아지는 등 관련 규제가 추가로 완화되고 각종 인센티브도 확대될 예정”이라며 “준공공임대주택이 지속 증가하면 서민 주거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종호 kona@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부동산 투자는 '부동산(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때'를 사는 것이다. |
'★★☆지식충전소☆★★ > ※임대주택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라진 주거 트렌드 '나는 임대주택에 산다'[공공임대의 재발견] (0) | 2016.02.16 |
---|---|
공공임대 내게 맞는 유형은?[공공임대의 재발견] (0) | 2016.02.16 |
인천 청천2 재개발 아파트 3500가구 통째로 '뉴 스테이' (0) | 2015.12.31 |
연립·다세대 '뉴 스테이'로 지을 땐 5층까지 가능 (0) | 2015.12.23 |
연봉 4500만원도 입주…'주먹구구' 공공임대 소득기준 (0) | 2015.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