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등산 자료☆★★/★☆ 등산 상식☆

단풍 산행 황홀해도 체온은 꼭지키세요

 

단풍 산행 황홀해도 체온은 꼭지키세요



찬 날씨 오래 노출 저체온증 위험

오한·사지마비 동반 의식 잃기도


이번 주말에 막바지 단풍 산행이 절정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아침, 저녁 기온이 10도 이하로 뚝 떨어지고 일교차가 큰 요즘 날씨가 복병이다. 한낮에 가벼운 차림으로 등산을 갔다가 저녁 무렵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저체온증을 경험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을지대병원 응급의학과 이장영 교수는 “저체온증이란 체온이 35도 아래로 떨어졌을 때 몸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이라며 “추위를 느끼게 되면 스스로 체내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우선 살갗에 있는 핏줄이 오므라들고 몸이 떨리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교수 등에 따르면 저체온증은 습하고 바람이 부는 차가운 날씨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있을 때, 무리한 등산으로 인해 땀을 많이 흘려 옷이 젖고 기진맥진한 때 발생 위험성이 높아진다. 오한이나 현기증, 사지마비가 동반되면서 의식을 잃어 응급실에 실려가는 경우까지 생긴다. 저체온증으로 인해 몸이 굳으면서 골절이나 낙상을 입는 등 산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저체온증의 초기 증상으로 심한 오한이 생기는데, 이것은 스스로가 체온을 높이기 위한 몸부림으로 볼 수 있다. 그러다 체온이 32~33도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불안과 초조, 어지럼증과 현기증이 일어날 수 있다. 결국 몸을 가누기 어려워지고 판단력과 시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특히 저체온증이 생기면 체내를 순환하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고 말초혈관 저항이 높아지며 혈액의 점도가 높아져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긴다. 이때 심장 기능이 급격하게 떨어져 심박동수와 심박출량이 줄어들고, 급작스러운 부정맥 상태가 되어 심할 경우 심장마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저체온증이 발생한 경우 몸안의 열을 더 이상 빼앗기지 않도록 하고, 몸의 보온기능이 빨리 회복되도록 바깥에서 열을 불어넣어 주는 것이 급선무다. 그러기 위해서는 바람이 불지 않는 양지바른 곳으로 가야 한다. 바닥에 앉을 때 침낭이나 매트, 담요 같은 것이 없을 경우에는 낙엽이나 신문지, 비닐이나 옷 등을 깔아 찬기를 막아야 한다.

저체온증은 피부 체온보다 몸의 중심체온이 떨어진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피부만 감싸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갑자기 몸을 뜨겁게 하면 오히려 급격한 온도 변화에 신체가 적응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몸을 천천히 은근하게 녹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늦가을에 등산을 갈 때는 저체온증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여벌 옷을 배낭에 넣고 가야 한다. 또 머리나 목, 손 등으로 빠져나가는 열을 줄이기 위해 모자나 목보호대, 장갑 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은 평지에 비해 해가 일찍 저물고, 어둠이 내리면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일몰 전에 하산을 서두른다. 몸이 계속 덜덜 떨리고, 맥박과 호흡이 느리고 약해지며, 졸리는 증상이 나타나면서 정신이 혼미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면 빨리 구조대에 연락해 병원으로 가야 한다. 자신이나 주변에 응급상황이 생기면 사지를 주무르고 담요나 옷뿐만 아니라 몸으로 환자를 감싸 체온이 오를 수 있도록 최대한 돕는다.

산행 전후와 산행 도중의 적절한 스트레칭은 근육과 힘줄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장력을 증가시켜 운동 손상뿐 아니라 저체온증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대충 자세만 취하는 것이 아니라 몸이 더워지는 느낌이 날 때까지 지속한다. 하지만 저체온증이 시작된 후 몸을 너무 이리저리 움직이고 스트레칭을 심하게 하면 피부와 근육이 심하게 떨려 오히려 땀구멍이 늘어나고 체온 유지가 더 힘들어진다.

강동경희대병원 재활의학과 김동환 교수는 “날씨가 차가운데도 과도하게 땀이 나거나 숨이 많이 차면서 탈진, 탈수, 오한 등이 느껴진다면 저체온증에 걸린 것”이라며 “특히 50대 이후나 근육량이 부족할수록 저체온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박효순 기자 anytoc@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