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매.임대구함★♬★/※★ 건강 웰빙★

119구급대원에게 들었다 골든타임 응급대처법

119구급대원에게 들었다 골든타임 응급대처법

 

베스트베이비

 

 

아이가 아프거나 다쳤을 때 급한 마음에 해준 조치가 치료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119구급대원이 들려주는 상황별 긴급 대처법.

지난 1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잘못으로 16개월 아이가 3도 화상을 입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다. 젖병을 소독하기 위해 끓이던 물을 실수로 아이의 목과 등에 쏟게 된 것. 당황한 보육교사가 이미 피부에 들러붙은 아이의 옷을 황급히 벗기는 바람에 살갗이 떨어져 더 큰 상처로 이어졌다. 화상을 입었을 때 재빨리 화기를 빼기 위해 옷을 벗기기도 하지만 피부에 달라붙은 상태라면 절대 금물. 이처럼 위급 상황에서 올바른 대처법을 알고 있어야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혹시 아이가 다치거나 아파서 119구급대에 도움을 청한 경우

다음 사항을 잊지 말자.

1 정확한 위치를 알린다

아이가 아프면 놀란 나머지 횡설수설하게 마련. 그러나 위급 상황일수록 당황하지 말고 침착해야 한다. 우선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이야기하자. 집이나 건물에 설치된 유선전화의 경우 주소 검색이 되지만 이사한 뒤 주소 이전을 하지 않았거나 휴대전화인 경우에는 반드시 주소를 알려줘야 한다. 자신의 현재 위치를 모르는 경우에는 근처에 보이는 건물명이나 건물 전화번호를 알려주면 구조대에서 검색해 출동할 수 있다.

2 아이의 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구급차량에도 상황별 응급처치에 필요한 장비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연령과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어떤 것 때문에 다치게 되었는지 아이의 몸 상태를 자세히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가령 "아이가 다쳤어요. 빨리 와주세요", "아이가 열이 심해요" 등 용건만 말하고 전화를 끊는다면 상황에 맞는 장비를 챙기기 어렵다. 119구급대가 출동하며 전화로 아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니 전화기는 항상 가까이 둘 것.

3 모바일 119 애플리케이션 이용

모바일용 119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신고할 경우 현재 위치 파악은 물론 119구급대에 사진 전송도 가능해 아이의 상태를 좀 더 정확하게 알릴 수 있어 다운로드해두면 유용하다.

◆ 119구급대원이 조언하는 상황별 응급처치 요령

고열인 경우

체온이 37~38℃ 이상인 경우에는 우선 해열제를 먹인다. 옷을 벗겨도 떨지 않도록 실내를 따뜻하게 한 뒤 옷을 벗기고 미온수에 적신 물수건으로 온몸을 구석구석 닦아준다. 수분이 증발하면서 온몸의 열을 빼앗기 때문에 열을 빨리 내릴 수 있는 방법이다.

NG 주변이 춥거나 아이가 몸을 심하게 떠는 경우에는 몸을 닦아주는 것을 즉시 중지해야 한다. 몸을 떠는 것은 열을 발생시키려는 근골격계 운동으로 온몸에 열을 더 발생시키기 때문. 열을 식히기 위해 온몸을 물에 담그는 것도 피해야 한다.

경련이 나타난 경우

고열에 의한 경련이 발생하면 근육이 제멋대로 움직이므로 자칫 혀를 깨물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아이가 몸을 심하게 떨 때는 돌돌 만 손수건을 입에 물려줄 것. 또한 주변 사물에 부딪혀 다치지 않도록 평평한 곳에 눕히고 안정을 취하도록 돌보자.

- NG: 온몸을 주무르는 것은 경련을 멈추는 데 별 효과가 없으니 스스로 멈추도록 기다릴 것.

유독 물질을 삼켰을 때

119구급대에 곧바로 신고하고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로 구성된 119의료지도팀의 상담을 받으며 신속히 병원에 데려간다.

- NG: 유독 물질을 삼킨 경우 구토를 유도하면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절대 삼갈 것.

이물질이 목에 걸렸을 때

기도가 이물질에 막혀 호흡이 안 될 경우 심장이 멎을 수 있고 심정지로 인해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12개월 이전인 경우 엄마가 한 손으로 아이의 목을 받치고 가슴을 5회 압박하고, 등(견갑골 중간)을 5회 치는 동작을 반복한다. 가슴 압박 시 양쪽 젖꼭지 한가운데 검지를 대고 중지, 약지까지 일자로 얹은 다음 검지를 뗀다. 중지, 약지만으로 5회 압박한 뒤 아이를 뒤집어 양쪽 등뼈 가운데를 밀듯이 5회 친다. 가슴과 등 압박을 반복하되 연령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것. 돌이 지난 아이라면 명치와 배꼽 사이에 주먹을 대고 위로 올리듯 압박하는 하임리히법을 실시할 것. 단, 하임리히법으로 응급처치를 한 경우에는 복부 압박이 심하므로 병원에서 장기 손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NG: 이물질이 보인다고 손가락을 넣어 꺼내려 하면 아이가 입을 다물어 손을 깨물릴 수 있고, 오히려 더 깊숙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날카로운 것에 베였을 때

아이가 스스로 걷거나 뛸 수 있게 되면 집 안 곳곳 가구의 모서리나 날카로운 부분에 부딪쳐 상처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다. 우선 상처 난 피부는 생리식염수로 씻어낼 것. 출혈이 심할 경우 깨끗한 수건으로 누르고 상처 부위가 심장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하체에 상처를 입었다면 바닥에 누워 다리를 벽에 대고 있게 할 것. 거즈나 붕대를 감았는데도 계속 피가 배어나온다면 거즈를 덧대어 감싸준다. 처음 감았던 붕대를 제거하려다 더 큰 출혈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NG: 휴지로 상처 부위를 지혈하면 휴지의 세균으로 인해 이차감염이 생길 수 있고, 피부에 들러붙은 휴지를 제거하기 어려워 치료 시기가 늦어질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상처 부위에 가루 지혈제를 뿌릴 경우 치료 시 세척하기가 더 어렵기 때문에 직접 압박해 지혈하는 것이 좋다.

화상을 입었을 때

화상 부위를 흐르는 차가운 물에 대줘 화기를 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화상에 의해 생긴 물집은 터트리지 말 것. 병원에서 처치를 받아야 2차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화상 부위의 화기를 빼는 것이 급선무다. 자칫 옷이 녹아 살갗에 들러붙을 수 있으므로 옷을 벗기기보다는 가위로 잘라내는 것이 안전하다.

- NG: 빨리 화기를 빼기 위해 화상 부위에 얼음을 댈 경우 피부 조직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절대 삼간다. 살갗에 옷이 들어붙었을 때 일부러 떼어내려 하면 더 큰 손상을 유발하므로 절대 금물.

약을 먹었을 때

아이가 집에 있는 약을 먹은 경우에는 어떤 약을, 얼마나 먹었는지가 중요하다. 약봉지를 통해 어떤 약인지, 얼마나 먹었는지, 먹은 지 얼마나 됐는지 체크할 것. 모바일용 약품정보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약의 모양과 색깔 등으로 어떤 약인지 검색할 수 있다. 먹은 지 30분이 안되고 의식이 명료한 경우에는 구토를 유도해도 되지만 시간이 많이 흘렀다면 빨리 병원에 데려가 복약한 약을 배출해주는 약물 치료를 해야 한다.

- NG: 만일 아이가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구토를 할 경우 토사물이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문틈에 손가락을 끼어 다쳤을 때

창문이나 문에 손가락·발가락이 꼈을 때는 피부 상처뿐 아니라 골절 유무도 확인해야 한다. 출혈이 있다면 서둘러 지혈하고, 뼈의 변형이나 골절이 예상되면 우선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조대가 오기 전 택배 상자 같은 두꺼운 종이를 이용해 고정해두면 2차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 NG: 육안으로는 괜찮아 보일 수 있지만 골절 위험이 있으니 함부로 상처 부위를 건드리지 말 것.

기획: 이원지 기자 | 사진: 이성우 | 도움말: 김보람(용산소방서 안전교육 소방교) | 소품협찬: 올드시티(031-258-9920, www.oldcity.co.kr)

저작권자(c) (주)서울문화사, 출처: 베스트베이비>(주)서울문화사 무단 전재·복사·배포 금지

 

 

 부동산 투자는 '부동산(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때'를 사는 것이다.

 "진료"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부동"공인중개사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