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니 허위·과장광고’ 주택조합 탈퇴 쉬워진다
조합, 예치기관에 일주일 내 가입비 반환 요청해야…
매년 지자체에 자금운용 계획 등 보고해야
여야 이견 없어…내주 국회 본회의서 통과될 듯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4일 국토교통부·국회에 따르면 문희상 더불어민주당,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지난 2016~2017년 이런 내용을 골자로 발의한 주택법 개정안이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주택조합은 크게 지역주택조합·직장주택조합·리모델링주택조합으로 나뉜다. 무주택자의 집 마련이나 노후 불량주택 소유자의 주택 리모델링 추진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가입한 뒤 당초 광고했던 내용과 달라 탈퇴하려 해도 가입비를 제때 돌려받지 못하거나, 예정에 없던 추가분담금 문제 등이 생겨 분쟁이 속출하고 있다.
개정안은 주택조합이 확보한 가입비를 예치기관에 맡기도록 했다. 가입자는 한 달 내 가입을 취소할 수 있고, 조합은 가입 취소 신청을 받으면 예치기관에 일주일 내에 반환 요청을 해야 한다. 조합은 가입자의 가입 신청 철회에 따른 위약금·손해배상 청구도 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조합은 매년 지자체에 연간 자금운용 계획과 자금 집행 실적 등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조합원의 권리 보호 및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것이다. 지자체는 조합이 주택법령을 위반하면 시정요구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주택 사업주체는 주택 광고를 할 경우 광고 사본을 지자체에 제출해야 한다. 지자체는 이를 2년 이상 보관해야 하고, 입주자는 이 기간 열람할 수 있다. 주택공급과 관련한 허위·과장 광고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나 광고 피해자가 소송을 제기할 때 증빙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이 개정안은 여야 간 이견이 없어 내주 열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y2k@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식충전소☆★★ > ※지역주택조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주택조합 돈 냈다가 속앓이… 한달내 탈퇴 땐 환불 쉬워진다 (0) | 2019.11.15 |
---|---|
땅 없이 아파트사업…‘묻지마’ 지역주택조합 주의보 (0) | 2019.11.15 |
기자도 당하는 '지역주택조합'… 고위험·고수익 투자[부린이 청약 가이드] (0) | 2019.11.04 |
동작구 "지역주택조합 피해 유의사항 확인하세요~" (0) | 2019.10.08 |
미신고 지역주택조합 기승...조합 설립 아직인데 '철거 중' 광고 (0) | 2019.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