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충전소☆★★/※재개발news

서울역 `노른자땅` 청파동 15년만에 재개발 `불씨`

서울역 `노른자땅` 청파동 15년만에 재개발 `불씨`





서울역 인근 마지막 '노른자 땅'으로 꼽히는 청파1구역 재개발 사업이 다시 본격화되고 있다. 구역지정 이후 15년간 진척이 없어 사업이 좌초될 뻔한 위기였는데 주민 참여가 다시 늘어 새 추진위원회까지 공식 출범했다.

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청파1구역 재개발 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7일 청파동 주민센터에서 주민총회를 개최하고 새 임원진을 선출했다. 이날 선임된 이정희 청파1구역 재개발 추진위원장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으로 추진위원회가 구성될 수 있었다"며 "추진위 출범을 계기로 이르면 올 하반기 도시설계·건축설계 용역 등을 마치고 정비계획까지 수립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추진위는 청파1구역 토지 등 소유자 343명 가운데 조합 설립을 위한 동의율(75%)에 근접한 72%에 해당하는 동의서를 이미 확보한 상태다.

청파1구역은 2004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서울역 남서부 용산구 청파동 2가 106 일대(총 2만7000㎡)에 위치한 노후주택 밀집 지역이다. 서울역과 숙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해 교통이 편리하며, 현재 추진 중인 서울역 마스터플랜(통합개발), 북부역세권 개발 사업 등의 직접적인 수혜 지역으로 꼽힌다.

이 구역은 오랫동안 사업에 진척이 없어 개발이 한 차례 무산될 뻔한 위기를 겪었지만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재추진에 성공한 흔치 않은 케이스다. 이에 지난해 6월 용산구청은 구역 지정 해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구역 내 주택 소유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가 실시되자 위기감을 느낀 이 구역 소유주들이 동의서 모집에 적극 나서면서 60% 이상 동의를 받아 구역 지정이 유지될 수 있게 됐다. 현재 추진위가 만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단체 대화방에는 주민 200명 이상이 참여해 사업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고 있다.

주민들은 또 약 3000만원의 후원금을 자발적으로 모금해 추진위 활동 비용에 보태기도 했다. 향후 재개발 사업의 성패는 도시계획위원회·건축위원회 등 서울시 심의 절차를 순조롭게 통과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서울 내 재개발 지역의 임대 의무 비율을 현행 15~20%에서 최대 30%까지 높일 수 있는 법안을 입법 예고해 임대주택 건립에 대한 부담이 커진 상태다. 여기에 기부채납시설을 짓는 등 서울시의 다양한 요구 조건까지 수용하면서 사업성을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가 될 전망이다.

용산구청 관계자는 "결국 향후 다양한 심의 과정에서 서울시와 협의가 원만히 이뤄지는 것이 관건"이라며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