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등산 자료☆★★/★☆ 등산 여행☆

살피고 마음까지 어루만지는 진산(하만윤의 산 100배 즐기기서울을)

살피고 마음까지 어루만지는 진산(하만윤의 산 100배 즐기기서울을)


구기터널-비봉-삼천사계곡의 북한산 산행코스

산세 웅장하고 서울 시내를 한 눈에 조망하는 산중의 산

은퇴하고 나니 어느 날 갑자기 여유가 생겼다. 정신없이 앞만 보고 달려오다 조심스레 주위를 돌아보면 나 자신에게만 제대로 대우해주지 못했다는 걸 느끼게 된다. 오랫동안 삶의 무게를 힘겹게 견뎌온 나를 무엇을 해야 할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면, 감히 등산을 추천한다. 현역 때 의무감에서 오르던 산과 은퇴 이후의 산은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편집자>


중앙일보

비봉에서 바라본 백운대. [사진 하만윤]



알면 알수록 매력적인 사람이 있듯이, 산도 마찬가지다. 언제 어느 때에 어떤 길로 오르느냐에 따라 매번 색다른 매력으로 다가오는 산이 있다. 그중 한 곳이 북한산이다.

멀리서 보면 백운대·인수봉·만경대 세 봉우리가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고 해 삼각산(三角山)으로도 불리는 북한산은 백두산·지리산·금강산·묘향산과 함께 우리나라 동서남북을 지키는 오악(五嶽)의 하나.

봉우리들이 한결같이 경사가 가파른 암벽으로 돼 있어 산세가 험하기로 정평이 났음에도 해마다 600만 명 이상이 즐겨 찾는 데는 이유가 있는 법이다. 한 번 빠지면 도통 헤어나기 힘든 이 산을 저자 또한 연모하고 있음을 부인하지 않겠다.

우리나라 오악(五嶽)의 하나


중앙일보

서울 내부순환로에서 바라본 북한산 비봉능선. 왼쪽부터 향로봉, 비봉, 사모바위, 승가봉, 문수봉, 보현봉 순이다. [사진 하만윤]




수많은 능선과 계곡을 품고 있는 북한산은 탐방로가 다양하다. 이번 산행에서는 비봉능선코스를 선택했다. 비봉능선은 족두리봉에서 향로봉· 비봉·승가봉을 지나 문수봉까지의 능선 길을 일컫는 것으로, 코스가 짧고 접근하기가 편할 뿐 아니라 북한산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어 많은 등산객이 즐겨 찾는 코스다.

저자는 들머리를 구기터널 앞 구기터널공원지킴터로 잡고, 이곳에서 출발해 향로봉 오거리를 돌아 비봉·사모바위를 지나 삼천사계곡으로 하산하는 계곡 산행 코스로 정했다. 시원한 계곡에 발이라도 담그며 한여름 뙤약볕에 산을 오른 수고로움을 보상받을 수 있다면 이 또한 행운일 것이다.

중앙일보

구기터널공원 입구. 이른 시간부터 더위를 피해 나온 사람들이 자리를 잡았다. [사진 하만윤]


구기터널공원지킴터에서 향로봉까지 계곡을 따라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했다. 악산인 만큼 간혹 만나게 되는 바위에서는 한 발 한 발 힘을 주고 조심조심 내디뎌야 한다. 등에 멘 배낭이 점점 바윗덩어리로 변하고, 등줄기를 타고 흐르는 땀을 의식하게 될 즈음이면 향로봉에 도달하게 된다.

산은 내가 걸은 만큼 정직하게 오를 뿐이라는 걸 새삼 깨닫는 순간이다. 향로를 닮았다고 해 이름 붙인 향로봉을 지나면서부터 북한산 비봉과 정상인 백운대가 또렷하게 눈에 들어온다. 산세가 웅장해 그 속을 알 수 없으나, 언제 어느 때고 제각각의 아름다움을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음을 또 한 번 실감하게 된다. 시선을 돌려 아래를 내려다보니 서울 시내 또한 한 눈에 들어왔다. 지덕(地德)으로 묵직하게 눌러앉아 그 지역을 편안하게 하는 산을 진산이라고 하는데, 북한산을 왜 서울의 대표 진산으로 꼽는지 알 듯했다.

중앙일보

향로봉 갈림길에서 바라본 비봉(오른쪽)과 백운대(왼쪽). [사진 하만윤]


향로봉을 지나 비봉으로 향했다. 암벽구간 우회 표지판을 지나 비봉 뒤쪽에 다다르면 비봉으로 오를 수 있는 길이 나온다. 암릉 구간이기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이곳에 오르면 비봉의 명물인 진흥왕순수비와 코뿔소바위를 만날 수 있다.

신라 24대왕인 진흥왕은 가야 소국을 병합하고 한강유역을 확보했으며 함경도 해안지방까지 진출하는 등 대외정복사업을 활발히 수행했다. 광범한 지역을 자국 영토에 편입한 뒤 척경과 순수를 기념해 비석을 세웠다. 순수(巡狩)란 천자가 제후의 봉지를 직접 순회하며 현지 통치 상황을 보고받는 의례. 현재까지 발견한 진흥왕순수비는 이곳을 비롯해 창녕 신라진흥왕척경비·황초령비·마운령비 등 모두 4개다.

중앙일보

비봉에 올라서면 코뿔소바위가 바로 앞에 보인다. 그 뒤로 북한산의 주능선이 한눈에 펼친다. [사진 하만윤]


이중 북한산 진흥왕순수비는 영토를 한강하류 이남까지 확장한 것을 기념한다는 의미 외에, 백제를 거치지 않고 중국과 직접 교류할 수 있는 지정학적 요충지를 확보했다는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이들 순수비는 신라의 멸망으로 역사에서 잊히는 듯했으나 조선 순종 때 금석학의 대가인 추사 김정희 선생에 의해 발견됐다. 다만 오랜 세월 풍파 속에 깨지고 마모된 부분이 많아 전체 내용을 다 알 수 없다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한강영역을 확보하고 순수비를 세운 이곳에서 진흥왕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비봉에 올라 시원한 바람에 땀을 식히고, 1400여 년 전 진흥왕의 마음과 고뇌를 잠시나마 떠올리며 발 아래로 펼친 서울을 내려다보는 것은 누구에게나 색다른 추억이 될 것이다.

중앙일보

비봉 정상에 위치한 진흥왕순수비(왼쪽)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국보 제3호 진흥왕순수비(오른쪽). 1972년 지금의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 보관하고 있다. [사진 하만윤]



사모바위서 점심후 삼천사계곡으로


진흥왕에 대한 상념은 여기까지. 더위에 지치지 않으려면 해가 머리 꼭대기에 도달하기 전에 움직여야한다. 비봉에서 십여 분을 걸으면 사모바위에 도달할 수 있다. 때마침 점심시간이라 삼삼오오 등산객들이 점심 자리를 펴고 앉은 게 보였다. 사모바위에는 헬기장이 있어 자리가 넓고 바람 또한 시원해 점심 자리로 안성맞춤이다. 저자와 일행 또한 이곳에서 조촐한 점심을 먹었다.

중앙일보

남자 관복 중 머리에 쓰는 사모를 닮았다고 해 이름 붙인 사모바위. 이곳에서 지나온 길을 돌아보면 오른쪽에 비봉을 볼 수 있다. [사진 하만윤]



짧은 휴식을 뒤로 하고 다시 삼천사계곡으로 향했다. 사모바위에서는 대체로 승가봉·문수봉을 넘어 구기동으로 하산하는 코스를 잡기 마련. 반면 저자는 무더운 여름산행에 절대 포기할 수 없는 계곡에서의 휴식을 위해 삼천사계곡으로 하산 길을 잡았다. 근래에 비가 잦았으나, 계곡물은 빨리 줄어있었다. 쉬기에 적당한 곳을 찾아 잠시 가던 길을 멈추고 배낭을 내려놓았다. 손우물로 세수도 하고 이곳까지 저자를 데려다준 더운 발을 살포시 담가본다.

국립공원 계곡은 입수가 금지돼있으나, 한여름 기꺼이 산을 오르는 수고로움을 마다않은 등산객들의 더운 발을 식히는 잠깐의 일탈(?)은 너그러이 눈감아주지 않겠는가. 이것조차 여의치 않다면 아무 생각 없이 그저 흐르는 물줄기를 바라보기만 해도 좋을 것이다.

중앙일보

들머리-불광역2번 출구에서 구기터널 방향으로 직진해 터널 입구에서 구기터널공원입구. 날머리-삼천사/진관서 입구. 총거리 8Km, 소요시간 6시간 30분. [사진 하만윤]



하산 끝자락에 있는 삼천사에 다다랐다. 신라 원효대사가 창건한 삼천사는 한때 승려 3000여 명이 수도를 할 정도로 큰 사찰이었다고 전한다. 이곳에 들러 마애여래입상(보물657호)을 한동안 바라봤다. 딱딱한 돌 위에 유려한 선이 빚어내는 미소는 자애로움 그 자체. 그 미소를 가슴에 담고 입 꼬리에 새기며 산행을 마감했다.

하만윤 7080산처럼 산행대장 roadinmt@gmail.com

중앙일보

[제작 현예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학연.지연.종교.정치(협회.국내정치)등 이야기 불가}

   

{한국공인중개사들의 산행으로 친목과 정보교류를 위한 순수한 산행 동호회}

한국공인중개사 산악회   http://band.us/@krmountain

공인중개사들의 산행과 여행..Daum Cafe  한국공인중개사

http://cafe.daum.net/kr-mountain